정부가 14개 중점 일자리 사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노인 취업 희망자들은 민간 분야에서 하루 1~4시간 근무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청년 취업률 제고를 위한 청년인턴 제도 확대, 근로빈곤층의 탈(脫)수급 인센티브 개선, 여성 직업훈련 강화 등의 의견도 제시됐다.
기획재정부는 23일 지난달 7~29일 한국조세연구원을 통해서 전국 성인 2천800명을 대상으로 5대 정책분야 14개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.
설문 결과 독거노인 지원사업인 `노인돌봄 기본서비스' 중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독거노인의 안전확인 서비스(51.6%)로 나타났다. 가장 강화가 필요한 서비스로는 정책 수요자들은 직접방문(38.1%) 서비스가 꼽혔다.
노인일자리 사업과 관련, 민간부문에 취업을 희망한다는 답변이 52%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, 희망 근로시간은 1일 1~4시간이 65%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.
노인 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4.3%가 서비스 전달체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나, 시설자격기준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응답도 68.6%에 달했다.
청년 취업과 관련해서는 중소기업 청년인턴제도가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79%로 주를 이뤘다.
재정부는 "청년 취업 제고를 위해 청년인턴 확대 및 실제 필요한 경영기법 위주의 교육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"고 설명했다.
베이비붐 세대 관련 정책 중 임금피크제 지원금 제도와 관련해서는 사업주의 자발적인 정년연장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37.3%로 가장 많았고, 정부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26.5%로 뒤를 이었다.
고령자고용연장 지원금 제도에 대해서는 제도 도입이 신규채용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의견이 80%에 달했다. 채용기간에 비례해 정부지원을 연장하면 제도를 활용할 의사가 있다는 답변은 82%로 나타났다.
`일과 가정의 양립'을 위한 주요 사업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한다는 의견이 많았고, 여성 직업훈련 강화 등의 개선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.
영유아보육료 지원제도를 놓고는 출산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는 답변이 66%로 가장 많았지만, 자율형 어린이집은 보육료 부담을 이유로 반대한다는 의견이 58.5%로 우세했다.
육아휴직 급여를 사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67.5%였으며, 정부가 육아휴직 급여를 월 50만원 정액제에서 임금의 40%인 정률제로 바꾼 것에 대해서는 55.5%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.
여성에게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(새일센터)에서 추가 확대가 필요한 분야를 묻자 직업교육훈련 다양화(52.7%), 일자리 알선(42.7%) 등의 의견이 나왔다.
이외에 근로빈곤층 대상 자활사업에 대해서는 탈수급시 인센티브 제공(33.5%), 자활근로 다양화(23.5%), 지원인력 확충(14.0%)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.
재정부는 `일과 사람 중심의 삶의 질 선진화'라는 예산편성 방향에 맞춰 여성, 노인, 청년, 베이비붐 세대, 근로빈곤층을 5대 정책고객으로 선정해 이들 계층을 대상으로 벌인 이번 조사 결과를 내년 예산안에 반영할 방침이다.